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지역사회복지의 추진체계와 실천영역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제3부 지역사회복지의 추진체계와 실천영역 Chapter 12 사회복지공동모금회 1. 공동모금의 도입 배경 - 세계최초로 기록된 모금 캠페인은 1873년 영국의 리버플 시에서 이루어졌지만 자리를 잡게 된것은 미국이다. - 공동모금에 대한 용어 • 초창기 미국, 커뮤니티 체스트 • 1950년대 유나이티드 펀드로 사용하다가 오늘날에는 유나이티드 웨이라는 용어로 사용 - 사회복지공동모금회법 제2조에 보면 공동모금이란 사회복지사업의 지원에 필요한 재원을 조성하기 위하여 전국 또는 지역을 단위로 제도권 내에서 기부금품을 널리 모집하는 것 - 공동모금에 따른 활동 경비 기부금품모집규법에 의하여 10%까지 사용할 수 있다. 2. 공동모금의 필요성과 발전 과정 1) 공동모금의 필요성 ① 공동모금을 통하여 산발적인 자선모..

사회복지 2023. 7. 4. 07:00
지역사회복지의 추진체계와 실천영역 사회복지협의회와 지역사회복지협의체

제3부 지역사회복지의 추진체계와 실천영역 Chapter 11 사회복지협의회와 지역사회복지협의체 1. 사회복지협의회의 기능 - 1990년대 까지 전국의 380여개 소의 사회복지관이 각 지역에 설립되어 지역사회복지의 중심기관으로 역할을 수행해 왔다. 그러나 앞으로 지역사회복지 단체인 NGO가 그 역할을 대신 할 것이다. - 사회복지 기관‧시설은? • 1차적인 기관 ‧ 시설이란 사회복지관, 장애인복지관, 노인복지관, 아동 ‧ 노인 ‧ 장애인복지시설, 그룹 홈, 아동상담소, 복지사무소등의 서비스 기관 ‧ 시설 등을 말한다. • 2차적인 기관 ‧ 시설이란 각종 협회, 연합회, 단체등을 말한다. • 3차적인 기관은 제 1차적인 서비스 기관과 제 2차적인 협회나 단체를 총괄한 협의회를 말한다. (* ‘협의회’라는 명..

사회복지 2023. 7. 3. 07:00
지역사회복지의 추진체계와 실천영역 재가복지센터

제3부 지역사회복지의 추진체계와 실천영역 Chapter 10 재가복지센터 1.재가복지의 도입배경 및 개념 1) 재가복지의 도입 배경 - 우리나라의 사회복지는 생활시설사업이 중심을 이루어 왔다. 그러나 시대적인 변천과 국민들의 사회복지 욕구의 변화에 따라 재가복지서비스가 새로운 프로그램으로 대두되기 시작했다. - 한국노인복지회에서는 1987년 재가노인복지사업을 시작하여 가정봉사원들을 통한 가사원조와 상담 등의 서비스 전개 - 1988년 은천노인복지회와 1989년 5월에 개관된 북부노인종합복지관과 남부노인종합복지관에서도 재가노인을 위한 재가복지서비스를 전개 -1989년 6월 보건복지부 훈령 제 568호로 제정된 사회복지관설치‧운영 규정에 보면 목욕서비스, 식사서비스, 가정봉사원 파견 등의 재가복지서비스 프로..

사회복지 2023. 7. 2. 07:00
지역사회복지의 추진체계와 실천영역 지역사회복지관

제3부 지역사회복지의 추진체계와 실천영역 Chapter 09 지역사회복지관 1. 사회복지관의 정의 및 역할 - 사회복지관은 일정한 지역에 자리잡고 있으며, 지역의 가족 및 가족 성원에게 관심을 가지며, 지역의 어떤 특정한 연령층이나 계층과는 상관없는 서비스 전달체계의 하나이며, 지역주민들의 통합, 연대, 공동적인 관심사에 개입하며, 연구적이고 시범적인 사업을 수행함 - 사회복지관의 사업의 수행에 있어서 10가지 사항을 염두해야 한다. ① 전문성으로 사회복지관 사업은 전문적 지식과 기술을 요하는 전문 인력에 의해 사업을 수행해야 한다. ② 시설성으로 사회복지관 사업은 주민과의 상담, 교육, 훈련, 인간관계 치료 등의 자조적 서비스를 위한 기준시설을 확보해야 한다. ③ 복지성으로 사회복지관 사업은 정치활동,..

사회복지 2023. 7. 1. 07:00
이전 1 2 3 4 5 6 7 ··· 11 다음
이전 다음

티스토리툴바

이메일: hj_seong@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