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부 지역사회복지의 추진체계와 실천영역 Chapter 11 사회복지협의회와 지역사회복지협의체 1. 사회복지협의회의 기능 - 1990년대 까지 전국의 380여개 소의 사회복지관이 각 지역에 설립되어 지역사회복지의 중심기관으로 역할을 수행해 왔다. 그러나 앞으로 지역사회복지 단체인 NGO가 그 역할을 대신 할 것이다. - 사회복지 기관‧시설은? • 1차적인 기관 ‧ 시설이란 사회복지관, 장애인복지관, 노인복지관, 아동 ‧ 노인 ‧ 장애인복지시설, 그룹 홈, 아동상담소, 복지사무소등의 서비스 기관 ‧ 시설 등을 말한다. • 2차적인 기관 ‧ 시설이란 각종 협회, 연합회, 단체등을 말한다. • 3차적인 기관은 제 1차적인 서비스 기관과 제 2차적인 협회나 단체를 총괄한 협의회를 말한다. (* ‘협의회’라는 명..
제3부 지역사회복지의 추진체계와 실천영역 Chapter 10 재가복지센터 1.재가복지의 도입배경 및 개념 1) 재가복지의 도입 배경 - 우리나라의 사회복지는 생활시설사업이 중심을 이루어 왔다. 그러나 시대적인 변천과 국민들의 사회복지 욕구의 변화에 따라 재가복지서비스가 새로운 프로그램으로 대두되기 시작했다. - 한국노인복지회에서는 1987년 재가노인복지사업을 시작하여 가정봉사원들을 통한 가사원조와 상담 등의 서비스 전개 - 1988년 은천노인복지회와 1989년 5월에 개관된 북부노인종합복지관과 남부노인종합복지관에서도 재가노인을 위한 재가복지서비스를 전개 -1989년 6월 보건복지부 훈령 제 568호로 제정된 사회복지관설치‧운영 규정에 보면 목욕서비스, 식사서비스, 가정봉사원 파견 등의 재가복지서비스 프로..
제3부 지역사회복지의 추진체계와 실천영역 Chapter 09 지역사회복지관 1. 사회복지관의 정의 및 역할 - 사회복지관은 일정한 지역에 자리잡고 있으며, 지역의 가족 및 가족 성원에게 관심을 가지며, 지역의 어떤 특정한 연령층이나 계층과는 상관없는 서비스 전달체계의 하나이며, 지역주민들의 통합, 연대, 공동적인 관심사에 개입하며, 연구적이고 시범적인 사업을 수행함 - 사회복지관의 사업의 수행에 있어서 10가지 사항을 염두해야 한다. ① 전문성으로 사회복지관 사업은 전문적 지식과 기술을 요하는 전문 인력에 의해 사업을 수행해야 한다. ② 시설성으로 사회복지관 사업은 주민과의 상담, 교육, 훈련, 인간관계 치료 등의 자조적 서비스를 위한 기준시설을 확보해야 한다. ③ 복지성으로 사회복지관 사업은 정치활동,..
제2부 지역사회복지의 실천모델과 기술 Chapter 08 지역사회자원 개발과 후원자 개발 1. 모금과 마케팅 - 그동안 특정한 개인이나 기업 등을 통해 인맥과 이해관계를 통해 모금을 해 왔으나 이제는 모금의 전문성이 강조되면서 마케팅 이론에 의한 모금 활동을 하고 있으나 전문적인 교육이나 이론의 바탕없이 모금 활동을 하면서 경험을 바탕으로 점차 정립해 가는 중이다. 2. 모금 기술의 단계 1) 구걸단계 2) 수금단계 3) 캠페인 단계 4) 마케팅 단계 3. 마케팅 전략 1) 소명헌장: 기관의 기본적인 목적을 말해 주는 것이다. 그것은 현재의 상태와 미래의 방향을 제시해 주며 제한적이 아니면서도 실현 가능하고 동기 부여적이며 분명한 것이여야 함 ex) 우리가 어디로 가고자 하는지, 우리가 하고 이TSms ..